6차산업 뉴스

협회공지 6차산업뉴스 교육안내 협회회원가입 회원 게시판 회원서비스(혜택) Q&A 갤러리

6차산업 뉴스

청년일자리보고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현용수
작성일18-05-18 09:53 조회978회 댓글0건

본문

"ICT 기반한 스마트팜 `청년일자리 보고` 될것"

농가 생산 30% 증가, 컨설턴트·개발자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

  • 이유섭 기자
  • 입력 : 2018.05.13 17:41:50   수정 : 2018.05.13 17:44:40

<!-- content -->

<!-- left contets -->
김현수 농식품부 차관

303721 기사의 0번째 이미지
작년 우리나라 농가 평균소득은 3824만원으로 전년 대비 2.8% 증가했다. 농가 평균 자산은 약 5억원으로 6.7% 늘었다. 하지만 농업용 부채는 무려 11% 감소했다. 농업 분야에서 투자활동이 활발히 이뤄지지 않으면서 미래 성장 잠재력이 줄고 있는 것이다.
전체 농가 경영주 가운데 나이가 40세 미만인 사람 비중은 현재 약 1%에 불과하고 2025년에는 0.4%까지 추락할 전망이다. 스마트팜(Smart Farm) 정책 밑그림을 그린 김현수 농식품부 차관(사진)은 13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"생산·교육·기술부터 농지공급·자금지원·창업에 이르기까지 첨단 농업을 위한 모든 게 한곳에 모인 `스마트팜 혁신밸리`를 2022년까지 전국에 4곳 조성할 계획"이라며 "혁신밸리에 들어온 농가·청년·기업 모두 시너지 효과를 내고 농업이 미래 성장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"이라고 내다봤다.

농가 이익에 대해 김 차관은 "스마트팜 도입 시 농가 생산량이 30.1% 증가하는 반면, 병해충·질병은 17.3% 감소할 것"이라며 "빅데이터 활용으로 농작업이 자동화·원격화돼 `농업은 고되다`는 말도 사라질 것"이라고 자신했다. 이뿐만 아니라 지금은 전국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초기 단계 스마트팜을 구축한 농업인들이 혁신밸리로 모이면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할 수 있고, 회당 100만원이 드는 스마트팜 컨설팅 혜택도 누릴 수 있다.

직업난을 겪는 청년 입장에서는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신산업이 탄생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김 차관은 설명했다. 그는 "ICT에 기반한 특성상 스마트팜은 청년층이 잘할 수밖에 없다"며 "전기·통신·시스템공학·화학 등 분야 간 융합이 필요하고 경영도 중요하기 때문에 농업 전공자가 아니라도 충분히 도전할 수 있다"고 말했다.
<iframe width="250" height="250" title="3rd party ad content" id="google_ads_iframe_/7450/MK_Website/mk_news/economy_0" src="http://tpc.googlesyndication.com/safeframe/1-0-27/html/container.html" frameborder="0" marginwidth="0" marginheight="0" scrolling="no" style="border: 0px currentColor; border-image: none; vertical-align: bottom;" data-is-safeframe="true"></iframe>
농가 경영인을 비롯해 컨설턴트, 엔지니어, 소프트웨어 개발자, 스마트팜 설계자 등이 향후 탄생할 직업군으로 꼽힌다. 스마트팜을 창업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인 수십억 원에 달하는 초기 자본금도 정부가 지원하는 농지 임대 등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. 그는 스마트팜이야말로 기업과 농업인이 공존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강조했다. 그는 "기업이 집중할 분야는 센서, 빅데이터, 소프트웨어, 첨단 기자재"라며 "기업은 혁신밸리에서 신기술을 실증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며, 여기서 축적된 실적을 바탕으로 전 세계에 수출하는 비즈니스를 할 수 있다"고 전망했다.

[이유섭 기자]
[ⓒ 매일경제 & mk.co.kr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 <!--이미지 키우는 스크립트-->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